현대차·기아는 아직 소식도 없는데 “대박이다”.. 美에서 세계 최초 공개한 ‘이 차’에 난리

댓글 0

테슬라, 자율주행 ‘사이버캡’ 공개
운전대,페달,운전석까지 없앴다
출처 – 테슬라 / 로보택시 ‘사이버캡’

테슬라가 자율주행차 시장에 새로운 혁신을 불러일으킬 ‘사이버캡’을 선보이며 전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운전대와 페달이 없는 완전자율주행 차량인 이 로보택시는 자율주행 기술의 미래를 상징하는 모델로, 테슬라의 도전적인 기술력이 한층 더 진화했음을 보여준다.

테슬라는 지난 10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에 위치한 워너브러더스 영화 촬영 스튜디오에서 사이버캡의 시제품을 공개했다.

‘사이버캡’은 이름에서부터 알 수 있듯, 미래지향적인 디자인과 최첨단 기술을 탑재해 ‘포스트 핸들’ 시대를 선언하는 모델이다. 차량 내부에는 운전대와 페달이 없으며, 양쪽에 버터플라이 도어를 장착해 공상과학 영화에서나 볼 법한 모습을 연출했다.

출처 – 테슬라 / 로보택시 ‘사이버캡’

특히 이 차량은 스마트폰으로 호출할 수 있으며, 탑승자는 목적지만 설정하면 자율주행으로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완전자율주행 교통수단으로 최적화된 사이버캡을 2026년부터 양산할 계획”이라며, 2027년에는 대량 생산이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가격은 3만 달러(약 4000만 원) 미만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1마일(1.6km)당 20센트라는 파격적인 요금을 제시해 대중화 가능성도 언급했다.

그러나 업계 반응은 마냥 긍정적이지만은 않다. 테슬라의 ‘3무(無)’ 전략—핸들, 페달, 충전 포트 없는 차량—이 오히려 시장에서 난관에 부딪힐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출처 – 테슬라 / 로보택시 ‘사이버캡’

사이버캡은 유도 충전기를 통해 무선으로 충전되며, 일반 전기차처럼 충전 플러그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이러한 무선 충전 방식의 한계로 인해 충전 속도가 느리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재 테슬라의 슈퍼차저는 유선 충전으로 최대 250㎾를 제공하지만, 유도 충전은 그 속도가 훨씬 떨어진다. 업계 관계자들은 이러한 충전 속도 문제와 인프라 부족이 사이버캡 대중화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또한 승차 공유 산업의 특성상 ‘다운타임'(차량 작동 중단 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한데, 충전 시간이 길어질 경우 차량 회전율이 낮아져 운영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점도 문제다. 투자은행 제프리스는 “이빨 빠진 택시(Toothless Taxi)”라며 사이버캡의 설계를 비판하기도 했다.

출처 – 테슬라 / 로보택시 ‘사이버캡’

그럼에도 불구하고, 테슬라의 이번 사이버캡 공개는 자율주행차 시장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미 구글 웨이모, GM의 크루즈 등 경쟁업체들이 자율주행 로보택시 서비스를 활발히 운영 중인 가운데, 테슬라는 이 경쟁에 뛰어들며 자율주행차의 미래를 선도하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구글 웨이모는 현대차와 협력해 아이오닉 5에 자율주행 기술을 적용하고 있으며, 중국의 바이두 역시 전 세계적으로 700만 대의 로보택시를 운영하며 글로벌 시장 확장을 노리고 있다.

테슬라의 사이버캡이 앞으로 자율주행차 시장에서 어떤 변화를 이끌어낼지, 그리고 이 혁신적인 기술이 대중에게 얼마나 빠르게 받아들여질지는 아직 미지수다.

Copyright ⓒ 발품뉴스.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관심 집중 콘텐츠

싸다고 무시했더니 “이젠 쫓기는 신세”… 무려 725km 주행 車 등장하자 시장 ‘술렁’

더보기

“페라리도 람보르기니도 따라올 수 없다”… 슈퍼카 계보 ‘확’ 바뀌자 시장 ‘발칵’

더보기

사상 최저 가격에도 “안 팔린다”… 중고차 시장 가격 폭락에 ‘당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