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꾸 터지는 ‘무시무시한 상황’에 “결국 정부가 나섰다”.. 전기차 역사 바뀌나

댓글 0

전기차 화재 안전성 강화, 기대 ↑
국토부, 배터리 화재에 칼 뽑는다..
출처 – 현대차그룹 / 아이오닉 5N

정부가 전기차 배터리 안전성 인증제를 시범 도입하고, 전기차 화재 방지와 안전성 강화에 나선다는 소식이 알려졌다.

이에 현대자동차그룹, LG에너지솔루션, 그린모빌리티, 대동모빌리티 등 총 5개 업체가 사업에 참여한다.

국토교통부는 15일 광주 광산구의 친환경 자동차 부품 인증지원센터에서 주요 업체들과 배터리 안전성 인증제 시범사업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출처 – 현대차그룹

2025년 2월부터 정식 도입될 이 제도는 정부가 전기차 배터리를 사전에 시험하고 인증하는 방식으로, 기존의 제작사 자기인증제를 대체할 예정이다.

기존에는 제조사가 스스로 안전성을 확인한 뒤 정부가 사후 검증을 해왔지만, 앞으로는 사전 인증제를 통해 전기차 배터리의 안전을 한층 강화한다.

이번 인증제는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이 배터리에 대한 열충격, 과충전, 단락, 진동, 침수 등 12개 항목의 안전성 시험을 수행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2026년부터는 인증을 받은 배터리만이 시중에 판매될 수 있다.

국토부는 1년간의 유예기간을 두지만, 현대차그룹은 내년부터 유예 없이 즉시 제도를 시행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출처 – 현대차그룹 / 아이오닉 5 N

시범사업에 따라 현대차 아이오닉9, 기아 EV4와 같은 신차들은 배터리 안전성 인증을 거친 첫 번째 모델이 될 예정이다. 이외에도 전기버스와 전기화물차 등의 배터리 역시 인증 대상에 포함된다.

백원국 국토부 제2차관은 “배터리 안전성 인증제는 전기차의 안전을 높이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국민들이 안심하고 전기차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현대차그룹은 이번 시범사업 참여를 계기로 화재 예방 기술 개발과 배터리 안전성 강화에 박차를 가한다. 김동욱 현대차그룹 부사장은 “정부와 협력해 국민의 안전 불안을 해소하고, 전기차 및 배터리 안전 기술 연구개발(R&D)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8월부터 시행한 전기차 무상 안심점검 서비스를 무상보증기간과 관계없이 매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올해 12월 완공 예정인 의왕연구소의 차세대 배터리 연구동에서 전고체 배터리 개발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출처 – 기아 / EV6

아울러 소방청과 협력해 차량 화재 위험 정보를 자동으로 소방 당국에 전달하는 시범사업에도 참여하며, 무인 소방로봇 개발 등 민관 협력체계 구축에 나서고 있다.

국토부는 전기차 화재 안전 관리 종합대책의 일환으로 이번 배터리 인증제를 도입했다. 제도 정착을 위해 배터리 정보 공개와 안전 기능 강화에도 집중하고 있으며, 인증제가 도입된 이후 판매된 차량에서 문제가 발견될 경우 시정 명령을 내릴 수 있다.

현대차그룹은 정부와의 협력을 통해 차세대 배터리 개발과 더불어 전기차 안전성을 지속 강화해 나가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전기차 시장에서의 신뢰를 높이고, 안전한 모빌리티 환경 조성에 기여할 방침이다.

이번 배터리 안전성 인증제 도입은 전기차 배터리의 안전성을 높이고 화재 위험을 최소화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Copyright ⓒ 발품뉴스.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관심 집중 콘텐츠

사치 빼고 필요한 것만 남겼더니 “2천만원대 전기차 탄생”… 테슬라도 놀랄 이 車의 정체

더보기

5월 “드디어 손에 넣는다”… 한국 전기차 시장 판도 뒤흔들 4천만원대 車

더보기

눈치 보며 할인 기다리던 시대 끝나나… 한국 시장 새로운 판매방식에 소비자들 ‘환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