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처럼 만들자 vs 말도 안 돼”… 한 도시의 관광 논쟁, 누구의 말이 맞을까

댓글 2

대규모 테마파크 조성, 실현 가능할까
출처 : 온라인 커뮤니티 (전남 순천의 한 아파트단지에 출몰한 사슴 떼)

도심 곳곳을 활보하는 꽃사슴 떼로 고민이 깊어진 전남 순천시가 사슴을 활용한 대규모 테마파크 조성을 검토하면서 그 실현 가능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24일 순천시에 따르면, 시는 일본 나라현 사슴 공원을 떠올리게 하는 꽃사슴 테마파크 조성을 논의 중이다.

나라현 사슴 공원은 일본의 대표적인 관광지로, 1200여 마리의 사슴이 사람들과 자유롭게 어울리며 관광객들이 먹이를 주는 것도 허용된다.

현재 순천시는 사슴 공원과 관련해 동물 보호 단체를 비롯한 전문가들의 의견을 듣는 단계에 있다.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일본 나라현)

충분한 검토를 거친 뒤 조성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방침이다.

시는 도심에서 출몰하는 사슴 떼로 인해 발생하는 로드킬이나 인명 피해를 줄이는 동시에 사슴과 공존할 수 있는 장기적 해결책 중 하나로 사슴 공원을 구상하고 있다.

이에 대해 시민 박모 씨(44)는 “사슴과 함께 살아가는 생태도시 순천이라는 이미지가 긍정적으로 다가온다”며 “봉화산의 관광 활성화 방안도 함께 고민했으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대규모 사슴 테마파크가 실제로 조성될지는 불확실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일본 나라현)

사슴이 서식하는 봉화산의 70%가 사유지여서 토지 소유주들과의 협의가 필요하고, 507만㎡(약 153만 평)에 달하는 면적을 관리하기 위해 울타리 설치 등 추가 비용이 상당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순천시 관계자는 “여러 대안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사슴 공원도 논의되고 있다”며 “도심 사슴 문제 해결을 위해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시는 단기적으로 사슴의 무분별한 이동을 막기 위해 동절기인 2~3월 동안 봉화산 중턱과 주요 이동 경로에 건초(마른풀)를 뿌려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또한 중기적으로는 용역을 통해 사슴 개체 수를 정확히 파악할 계획이다.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일본 나라현)

현재 봉화산 일대에 서식하는 사슴은 약 60~70마리로 추정되며, 최근 번식기를 거치면서 개체 수가 더욱 증가했을 가능성이 크다.

사슴이 현행법상 가축으로 분류되어 있어 포획이나 사살이 어렵다는 점도 해결해야 할 과제다.

이에 시는 사슴을 ‘야생동물’로 지정한 후 포획해 중성화 수술을 통해 개체 수를 조절하는 방안을 장기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봉화산의 사슴은 약 15~20년 전 조례동의 한 사슴 농장에서 탈출한 4마리가 야생에 정착하면서 점차 개체 수가 늘어난 것으로 전해진다.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일본 나라현)

한편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생태도시라면 사슴과 공존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아이들이 자연 속에서 동물을 가까이 보며 자라는 것이 정서적으로도 좋다” 등 다양한 반응이 나오고 있다.

Copyright ⓒ 발품뉴스.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2

관심 집중 콘텐츠

“백만송이 튤립 만개”… 서울에서도 1시간이면 가는 봄꽃 여행지

더보기

“다음 주에는 볼 수 있다”… 서울에서 가장 유명한 튤립 명소

더보기

“5월엔 작약, 여름엔 수국”… 5월부터 화려해지는 무료 꽃명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