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디어 완공”.. 한국이 세계 3위, 놀라운 업그레이드 성공한 이 곳

댓글 16

세계 3위 수용 능력
양 날개 달고 도약하는 인천공항
출처 : 연합뉴스 (촬영 : 임성호 / 새롭게 생긴 인천 공항 내 한국정원)

한국의 관문인 인천국제공항이 세계에서 손꼽히는 공항으로 한 단계 더 비상한다. 7년에 걸친 대규모 확장 공사 끝에 4단계 확장을 마친 제2여객터미널이 기존의 두 배 규모로 완공되었기 때문이다.

이로써 인천공항은 연간 여객 5천만 명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터미널 두 곳을 보유한 세계 최초의 공항으로 거듭났다.

이번 확장 사업은 4조8천억 원이 투입된 초대형 프로젝트로, 2017년에 시작돼 7년 만에 결실을 맺었다.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제2터미널 확장은 기존 38만㎡에서 축구장 48개 크기에 해당하는 34만㎡를 추가해 약 2배로 면적이 넓어졌으며, 터미널 형태는 하늘에서 보면 알파벳 ‘H’를 닮은 독창적인 구조를 갖췄다.

계류장도 대폭 확충돼 여객기 62대, 화물기 13대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총 75개의 계류장이 신설되었다.

이를 통해 제2터미널의 연간 여객 수용 능력은 기존 2,300만 명에서 5,200만 명으로 증가했다.

제1터미널과 탑승동의 5,400만 명 수용 능력을 더하면, 인천공항의 전체 여객 수용 능력은 1억600만 명에 달하게 됐다. 이는 동북아시아 1위, 홍콩과 두바이 다음으로 세계 3위 규모다.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화물 처리 능력에서도 인천공항은 글로벌 리더로 자리 잡았다. 기존 500만 톤에서 630만 톤으로 확대되면서 세계 2위로 올라섰다.

이는 한국이 글로벌 반도체 물류 허브로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다지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인천공항의 확장된 터미널 내부는 단순히 수용 능력만 증가한 것이 아니다. 여객의 편의성과 문화적 감성을 모두 담았다.

곳곳에 예술작품이 설치되어 있으며, ‘한국정원’, ‘열린정원’과 같은 휴식 공간이 마련되어 승객들이 공항에서도 편안하게 머무를 수 있다.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또한, 최신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공항 시스템도 눈길을 끈다. 인공지능(AI)과 생체 인식을 활용해 여권이나 탑승권을 제시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보안 검색을 통과할 수 있는 시스템이 도입됐다.

박상우 국토부 장관은 29일 열린 ‘인천공항 4단계 그랜드 오프닝 행사’에서 “이번 확장 사업은 한국 공항 인프라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세계 최고의 서비스와 안전을 갖춘 공항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확장된 제2터미널은 다음 달 3일부터 정식 운영을 시작하며, 앞으로 대한민국의 하늘길은 한층 더 활짝 열릴 전망이다.

Copyright ⓒ 발품뉴스.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16

관심 집중 콘텐츠

“여기 가면 5월 봄꽃은 다 봐요”… 출렁다리도 볼 수 있는 수도권 여행지

더보기

“전국에서 제일 빠른 작약 본다”… 올해 처음으로 열리는 작약 축제

더보기

“다녀간 사람만 177만 명”… 한번 가면 또 가게 되는 이색나들이 명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