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TA 한시 면제 연장
여행 산업의 새로운 활력소
전자여행허가제(K-ETA) 한시 면제 조치가 연장되며 관광업계가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 특히 이번 조치로 인해 주요 관광 시장인 일본, 미국, 대만 등을 포함한 다수 국가의 방한 관광객 유치가 지속 가능해졌다.
법무부와 문화체육관광부는 “2023~2024 한국 방문의 해”라는 목표 아래 한국 관광 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결정으로 평가하고 있다.
12일 여행업계에 따르면, 법무부는 K-ETA 한시 면제 조치의 기간을 2025년 12월 31일까지 1년 더 연장한다고 발표했다.
문체부는 이날 한국여행업협회 등 업계 관계자들에게 관련 내용을 공지하며 면제 조치가 일본, 미국, 대만, 홍콩 등 60여 개 주요 국가를 대상으로 한다고 전했다.
이는 특히 방한 관광객 비율이 높은 일본과 같은 국가들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을 것으로 기대된다. 일본인을 포함한 주요 관광객들에게 사전에 K-ETA를 신청해야 하는 번거로움은 방한 관광 축소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K-ETA는 지난 2021년 9월부터 도입된 제도로, 무사증 입국이 가능한 국가의 여행객이 출발 전에 온라인으로 정보를 입력하고 입국 허가를 받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태국의 경우에는 K-ETA의 엄격한 심사 기준으로 인해 입국 거절 사례가 잇따르며 불만을 낳았다. 이에 따라 태국 SNS에서는 ‘한국 여행 금지’ 해시태그 열풍이 부는 사태까지 발생했음에도, 이번에도 K-ETA 한시 면제 대상이 되지 못했다.
태국과 관련된 상황은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다. 문체부가 올해 법무부에 태국인에 대한 K-ETA 한시 면제를 요청한 적도 있으나 법무부는 국내 불법 체류자 문제가 여전히 심각하다는 이유로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다만, K-ETA 면제 대상 국가를 확대하기 위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어 앞으로의 상황에 변화가 있을지 주목된다.
한편, 관광업계는 60여 개 주요 국가를 대상으로 하는 K-ETA 한시 면제 연장 소식에 두 팔 벌려 환영하는 분위기다.
여행업계 관계자는 “이번 연장은 우리 업계에 매우 긍정적이다. K-ETA가 지속적으로 한시 면제를 유지한다면 해외 관광객 유입이 원활해지고, 한국 방문을 고려하는 이들에게 큰 편의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특히 일본과 같은 시장에서 K-ETA 신청 절차를 생략하게 됨으로써 방한 관광객 증가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K-ETA 면제 조치는 다수 국가에서 적용 중이지만, 면제 여부는 국가별로 다르다. 법무부는 K-ETA 면제 대상국 목록을 공개하지 않았지만, 여행객이 국적을 선택하면 해당 국가가 면제 대상인지 확인할 수 있다.
업계는 이번 조치가 관광 산업 회복의 발판이 되길 기대하며, 추가적인 국가 면제 확대 가능성에도 주목하고 있다.
태국은 왜 풀어줘야할때
태국보다도 중국이 더문제임 중국은 힘있으니 힘없는 태국만 족치는거지뭐 ㅂㅅㄷ..
노
태국에 대한 내용이 있긴 했지만 가독성 떨어지게 문단 배치하고 내용상 요약보다는 어그로성 제목이긴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