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은 또?”… 드디어 소식 들려오자 여행업계 ‘미소’

댓글 9

K-ETA 한시 면제 연장
여행 산업의 새로운 활력소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방콕 공항)

전자여행허가제(K-ETA) 한시 면제 조치가 연장되며 관광업계가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 특히 이번 조치로 인해 주요 관광 시장인 일본, 미국, 대만 등을 포함한 다수 국가의 방한 관광객 유치가 지속 가능해졌다.

법무부와 문화체육관광부는 “2023~2024 한국 방문의 해”라는 목표 아래 한국 관광 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결정으로 평가하고 있다.

12일 여행업계에 따르면, 법무부는 K-ETA 한시 면제 조치의 기간을 2025년 12월 31일까지 1년 더 연장한다고 발표했다.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문체부는 이날 한국여행업협회 등 업계 관계자들에게 관련 내용을 공지하며 면제 조치가 일본, 미국, 대만, 홍콩 등 60여 개 주요 국가를 대상으로 한다고 전했다.

이는 특히 방한 관광객 비율이 높은 일본과 같은 국가들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을 것으로 기대된다. 일본인을 포함한 주요 관광객들에게 사전에 K-ETA를 신청해야 하는 번거로움은 방한 관광 축소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K-ETA는 지난 2021년 9월부터 도입된 제도로, 무사증 입국이 가능한 국가의 여행객이 출발 전에 온라인으로 정보를 입력하고 입국 허가를 받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태국의 경우에는 K-ETA의 엄격한 심사 기준으로 인해 입국 거절 사례가 잇따르며 불만을 낳았다. 이에 따라 태국 SNS에서는 ‘한국 여행 금지’ 해시태그 열풍이 부는 사태까지 발생했음에도, 이번에도 K-ETA 한시 면제 대상이 되지 못했다.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방콕 공항)

태국과 관련된 상황은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다. 문체부가 올해 법무부에 태국인에 대한 K-ETA 한시 면제를 요청한 적도 있으나 법무부는 국내 불법 체류자 문제가 여전히 심각하다는 이유로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다만, K-ETA 면제 대상 국가를 확대하기 위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어 앞으로의 상황에 변화가 있을지 주목된다.

한편, 관광업계는 60여 개 주요 국가를 대상으로 하는 K-ETA 한시 면제 연장 소식에 두 팔 벌려 환영하는 분위기다.

여행업계 관계자는 “이번 연장은 우리 업계에 매우 긍정적이다. K-ETA가 지속적으로 한시 면제를 유지한다면 해외 관광객 유입이 원활해지고, 한국 방문을 고려하는 이들에게 큰 편의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방콕 공항)

이어 “특히 일본과 같은 시장에서 K-ETA 신청 절차를 생략하게 됨으로써 방한 관광객 증가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K-ETA 면제 조치는 다수 국가에서 적용 중이지만, 면제 여부는 국가별로 다르다. 법무부는 K-ETA 면제 대상국 목록을 공개하지 않았지만, 여행객이 국적을 선택하면 해당 국가가 면제 대상인지 확인할 수 있다.

업계는 이번 조치가 관광 산업 회복의 발판이 되길 기대하며, 추가적인 국가 면제 확대 가능성에도 주목하고 있다.

Copyright ⓒ 발품뉴스.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9

  1. 태국보다도 중국이 더문제임 중국은 힘있으니 힘없는 태국만 족치는거지뭐 ㅂㅅㄷ..

    답변
  2. 태국에 대한 내용이 있긴 했지만 가독성 떨어지게 문단 배치하고 내용상 요약보다는 어그로성 제목이긴 함.

    답변

관심 집중 콘텐츠

“눈 싫어하는 친구도 입이 떡”… 눈 내릴 때 가야 하는 ‘겨울 명소’ 2곳

더보기

“여행 가서 한 잔 마셨다가”… 머리 심으러 간 관광객들 ‘덜덜’

더보기

“멀리 갈 필요 없어졌다”… 전국 여행러들 몰리는 ‘무료 시니어 여행지’ 2곳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