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70% 산수유 보유”… 매년 100만 명 다녀가는 봄꽃 마을

댓글 0

지리산 품은 구례 산동 산수유마을
천 년의 꽃이 피어나는 시간
출처 : 구례군

봄이 가장 먼저 찾아오는 남녘, 그중에서도 지리산 자락 아래 구례 산동 산수유마을은 노란 물결로 물든다.

3월이 되면 전국 산수유나무의 70%가 자란다는 이곳에는 매년 100만 명이 넘는 상춘객들이 몰려든다.

하지만 올해는 개화가 늦어져 산수유 축제 이후 7일이 지난 3월 말에 되어서야 산수유가 만개한 모습을 볼 수 있었다. 4월 둘째 주까지도 절정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눈부신 노란색으로 계곡과 마을을 물들이는 산수유꽃은 매화와 벚꽃보다 먼저 피는 ‘봄의 전령사’다. 꽃말은 ‘영원불멸의 사랑’. 그 뜻처럼 마을 곳곳은 봄날 사랑에 빠진 듯하다.

구례 산동면에 자리한 산수유마을은 지리산에서 내려오는 찬 공기를 맞으며 따뜻하게 피어나는 꽃으로 계절의 시작을 알린다.

마을을 둘러싼 지리산 차일봉과 만복대, 성삼재의 설경이 아직 남아 있는 가운데, 골짜기마다 피어난 산수유는 마치 노란 수채화를 뿌려놓은 듯한 풍경을 만들어낸다.

이 마을에는 산수유꽃을 따라 걷는 5개 코스, 총 12.4km의 산수유길이 조성돼 있다. 가장 인기 있는 1코스는 산수유 사랑공원에서 산수유 문화관, 반곡마을, 지리산나들이 장터를 잇는다. ‘꽃 담길’이라 불리는 이 구간은 흐드러지는 꽃 사이를 걷는 즐거움을 선사한다.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언덕 위 사랑공원에 오르면 파노라마처럼 펼쳐지는 꽃 마을 풍경이 한눈에 들어온다. 골짜기 밑 평지에 들어선 반곡마을은 봄이 오면 산수유로 뒤덮여 꽃 대궐이 된다.

5코스에서는 한국 최초로 심어진 산수유나무도 만날 수 있다. 수령 1천 년이 넘은 이 나무는 ‘할머니 나무’로 불린다.

전해지는 이야기로는 오래전 중국 산동성에서 시집온 한 여인이 어머니의 당부와 함께 가져온 산수유 묘목이 이 나무의 시초라 한다.

이곳은 또한 이순신 장군의 백의종군로가 시작되는 지점으로, 역사와 자연이 공존하는 의미 깊은 길이기도 하다.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구례의 산수유 농업은 척박한 산간지대에서 시작된 고된 삶의 산물이다. 돌을 골라낸 자리에 묘목을 심고, 그 돌로 담을 쌓으며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농업방식은 2014년 국가중요농업유산 3호로 지정됐다.

봄에는 꽃이, 가을에는 약재가 되는 열매가 이 마을을 살려왔다. 이곳의 산수유는 ‘대학 나무’로도 불렸는데, 열매 몇 상자면 자녀의 학비를 감당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봄철뿐 아니라 가을에는 붉은 열매가 탐스럽게 익고, 겨울에는 그 위로 눈이 소복이 내려앉는다. 사계절 내내 아름다움을 간직한 이 마을의 산수유 열매는 약재로도 명성이 높다.

신장 기능 개선, 항염, 노화 방지 등 건강식품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구례의 토양과 기후 덕분에 품질도 으뜸이다.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산수유 축제가 끝나갈 무렵에는 섬진강과 서시천을 따라 벚꽃이 만개해 4월 중순까지 꽃 잔치가 이어진다.

‘벚꽃 라이딩’ 명소로 불리는 자전거길 50km와 함께 남도의 꽃길은 광양의 매화, 하동의 벚꽃과 연결되며 봄 여행의 중심이 된다.

지금 이 순간, 구례는 꽃으로 피어나고 있다. 단순한 경관이 아니라 삶과 역사, 치유와 추억이 함께 어우러지는 꽃 마을. 천 년의 시간을 살아온 산수유는 오늘도 그렇게 노란 사랑을 피워내고 있다.

Copyright ⓒ 발품뉴스.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관심 집중 콘텐츠

“단돈 천 원으로 이런 풍경을”… 4월 말 꼭 가야 하는 ‘서울근교 튤립•벚꽃명소’

더보기

“한쪽은 중국식, 한쪽은 일본식”… ‘한국 최초의 공원’에 숨겨진 놀라운 비밀

더보기

“무료인데 이렇게 예쁘다니”… 4월 안 가면 손해라는 ‘튤립•벚꽃 무료명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