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년 만에 한한령 해제?”… 지금 중국 MZ가 한국을 찾는 이유

댓글 6

한국관광공사, 中 대형 온라인여행사 및 플랫폼과 협업
출처 : 뉴스1 (중국인 단체 관광객들이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하며 손을 흔들어 인사하고 있다)

약 8년 만에 중국이 한한령(限韓令·한류 금지령)을 해제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관광업계에서 방한 중국인 여행객 증가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특히 과거 주를 이뤘던 단체 관광객과 달리, MZ세대를 중심으로 한 개별여행객(FIT)이 여행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이들을 유치하기 위한 홍보·마케팅이 적극적으로 전개되고 있다.

26일 한국관광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을 방문한 중국인의 연령대는 21~30세가 28%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어 31~40세(23%), 60세(14%), 41~50세(12%), 51~60세(10%) 순으로 나타났다.

출처 : 뉴스1 (제주를 찾은 중국 관광객 환영행사가 열리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중국에서도 빠르게 감지되고 있다. 중국 기반 글로벌 여행 플랫폼 트립닷컴 역시 개별여행객(FIT) 증가에 주목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개최된 ‘중국 인바운드 활성화 포럼’에 참석한 에디슨 천 트립닷컴 그룹 부회장은 “최근 2년간 중국인 해외여행 트렌드가 개별여행 중심으로 급속히 전환됐고, 여행객 연령도 낮아지고 있다”며 “여행 소비 품질을 중시하고, 느리게 즐기며 깊이 체험하는 여행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하다”라고 분석했다.

이에 한국관광공사는 올해 핵심 사업 중 하나로 ‘중국 개별여행객(FIT) 유치’를 추진하며, 이를 통해 10만 명의 중국인 개별여행객을 유치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자유롭고 즐거운 한국여행'(自游FUN韩)이라는 의미를 담은 중국 FIT 브랜드를 개발하고, 중국 대표 온라인 여행사(OTA) 중 하나인 퉁청(同程)과 협력해 ‘한국 봄꽃 테마관’을 운영할 계획이다.

출처 : 뉴스1 (제주항에 입항한 크루즈 ‘드림호’를 타고 제주를 찾은 중국인 단체 관광객들이 크루즈 여객 터미널에서 이동하고 있다)

또한 ‘한국여행, 내 생활의 연장선, 중화권 생활여행자’라는 방문 캠페인을 통해 씨트립, 클룩, 케이케이데이 등 중화권 특화 OTA 및 항공사와 FIT 맞춤형 상품을 개발하고, 한국 여행 전용관을 운영한다.

아울러 복수비자(발급일 기준 6개월 이내 두 차례 입출국 가능)를 활용해 첫 방문객부터 재방문객, N차 방문객까지 맞춤형 혜택을 제공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한국관광공사는 중국판 인스타그램으로 불리는 ‘샤오홍슈(小红书)’와 협약을 맺고, 2050 중국 여성 맞춤형 캠페인을 진행한다.

샤오홍슈는 1990~2000년대생 젊은 여성층을 중심으로 확장하고 있는 플랫폼으로, 월간 활성 이용자 수가 3억 명 이상에 달한다.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한국관광공사 중국팀 관계자는 “중화권 여행객이 빠르게 개별여행 형태로 변화하고 있으며, 최근 디지털 매체를 통해 한국의 라이프스타일과 유행을 담은 K-컬처 콘텐츠가 활발히 유통되고 있다”며 “올해 중화권 항공편 회복이 이루어지면서 한국 여행에 대한 경쟁력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해 한국을 찾은 중국인 관광객은 450만 명으로, 전년(202만 명) 대비 127.9% 증가했다.

다만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과 한한령 시행 전인 2016년과 비교하면 각각 74.7%, 55.7% 수준에 그쳤다.

Copyright ⓒ 발품뉴스.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6

관심 집중 콘텐츠

“한쪽은 중국식, 한쪽은 일본식”… ‘한국 최초의 공원’에 숨겨진 놀라운 비밀

더보기

“무료인데 이렇게 예쁘다니”… 4월 안 가면 손해라는 ‘튤립•벚꽃 무료명소’

더보기

“밤에 한강 보는 ‘무료’ 모임”… 봄밤에 신청해야 하는 서울 투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