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왕벚꽃축제 논란 이후
지자체가 내놓은 대책은

벚꽃이 만개하며 전국 각지에서 봄꽃 축제가 한창인 가운데, 제주 왕벚꽃축제 현장에서 발생한 ‘바가지요금’ 논란이 결국 제주도 행정의 움직임을 불러왔다.
축제장에서 판매된 순대볶음 6조각에 2만5천원이라는 지나친 가격에 네티즌들의 공분이 일자, 제주도는 뒤늦게 축제 바가지요금 방지 대책을 발표하며 진화에 나섰다.
문제가 불거진 건 지난 3월 28일부터 30일까지 제주시 전농로에서 열린 제주 왕벚꽃축제 현장.

사회관계망서비스(SNS)와 커뮤니티에는 “순대 6조각에 2만5천원이라니”, “솜사탕 먹는 게 더 나았다”, “편의점에서 먹고 가라는 게 도민 조언”이라는 불만이 잇따라 올라왔다.
현장을 방문했던 관광객들은 과도한 가격뿐만 아니라 음식 구성도 부실했다며 실망감을 드러냈다.
논란이 확산되자 제주도는 오는 지역 축제 전반에 대해 판매 품목의 메뉴판과 가격표를 의무적으로 부착하도록 하고, 음식 견본 사진이나 실물 모형을 부스 앞에 비치할 것을 적극 권고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바가지요금 신고센터’를 축제 종합상황실 내에 설치해 즉각 대응하겠다는 계획도 함께 내놨다. 축제 중 논란이 발생하면 향후 축제 평가 시 감점을 주는 페널티제도 도입할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도는 축제 개최 전 부스 참여자와 지역 상인을 대상으로 ‘사전 교육’을 실시해 끼워팔기, 과다요금 요구 등 불공정 행위를 미연에 방지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번 조치는 단순한 가격 문제를 넘어, 관광지로서 제주의 신뢰도 하락을 막기 위한 선제적 대응이기도 하다.
실제로 제주도는 ‘바가지요금’ 이미지로 관광객들의 불만이 끊이지 않았던 대표적인 지역이다.
‘갈치구이 1인분에 7만~10만원’, ‘해산물 세트 5만원’, ‘비계 삼겹살’ 등 과거 수차례에 걸쳐 논란이 일었고, 이를 계기로 오영훈 제주지사는 최근 열린 정책회의에서 “관광 고비용 이미지를 개선하지 못하면 관광 진흥 정책도 실효성을 거두기 어렵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그는 “객단가 중심의 사고방식에서 벗어나, 가격은 낮추고 회전율을 높이는 친환경적 접근이 필요하다”며 제주 관광의 지속 가능성을 위한 구조적 변화를 주문했다.
또한 제주도는 앞으로 크루즈 관광 확대, 국제노선 유치, 축제 연계형 프로그램 등 다양한 관광 콘텐츠 개발을 통해 단순 소비형 관광에서 체류형·체험형 관광으로의 전환을 꾀하고 있다.
한편 제주관광공사가 발표한 설문조사 결과에서도 내국인 관광객의 절반 이상(53.4%)이 제주 여행의 가장 큰 불만 요소로 ‘비싼 물가’를 꼽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객들이 느끼는 체감 물가가 지역 전체의 이미지에 영향을 주는 만큼, 축제 현장에서의 바가지요금 근절은 단순한 서비스 품질의 문제를 넘어 지역 신뢰도 회복의 첫걸음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제주도 안가면 되는걸 왜 사서 고생하냐고?
이러니 제주갈빠엔 해외로나간다는말이 나오지 뭐하러 제주가니 한국인데 중국같은제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