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가볼 만한 울산 여행지 추천
고래•해양생물 좋아하는 아이와 가기에 딱!

울산남구도시관리공단은 올해 장생포 고래문화특구에 방문한 관람객의 수가 100만 명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이를 기념해 공단은 지난 10일 100만 번째 방문객에게 호텔 무료 숙박권과 고래문화특구 기념품 11종을 증정했다.
고래문화특구 방문객 수는 2022년부터 올해까지 3년 연속 100만 명 이상을 기록하며 그 인기를 증명하고 있다. 특히 올해는 작년보다 약 1개월 빠르게 100만 명을 달성했다.
공단은 지난 6월 진행한 고래문화특구 성수기 야간 연장 운영, 고래박물관 광장 불꽃 쇼, 고래바다여행선 야간 운항, 장생포 수국 페스티벌, 성수기 및 여름방학 특별 이벤트 등으로 인해 방문객이 급증한 것으로 분석했다.

또한 이번 방문객 통계는 무료 시설인 장생포 문화 창고를 제외하고 고래문화특구 유료시설인 고래생태체험관, 고래박물관, 고래바다여행선, 고래문화마을, 울산함, 웰리키즈랜드, 모노레일 7곳을 대상으로 집계한 것이다.
한편, 오는 9월에 울산고래축제가 열려 작년 방문객 수를 크게 뛰어넘을 것으로 보인다.
공단 이사장은 “고래문화특구가 일 년 내내 축제 분위기로 운영될 수 있도록 다채로운 이벤트를 마련하는 데에 힘쓰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장생포 고래문화특구
울산 남구 장생포고래로 244에 위치한 ‘장생포 고래문화특구’는 선사시대부터 고래가 뛰놀던 고래도시로, 고래 및 해양생태계를 좋아하는 아이와 가기 좋은 고래체험 공간이다.

고래문화특구 내에는 실물 고래골격이 전시되어 있는 ‘고래박물관’과 국내 최초 돌고래수족관을 보유한 ‘고래생태체험관’, 장생포 마을 주민들의 실제 생활상을 그대로 복원한 ‘고래문화마을’ 등이 자리해 있다.
그 외에도 장생포웰리키즈랜드, 고래바다여행선, 장생포 모노레일 등이 조성되어 있어 가족여행지로 더할 나위 없이 좋다.
인근에는 장생포 고래문화마을 수국정원, 장생포항, 원각사, 방어진체육공원 등이 있어 함께 방문해 청정 자연 속에서 힐링하기에 좋다.
덧붙여 자차로 방문 시 이용할 수 있는 주차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반려동물의 동반입장이 불가하다. 장생포 고래문화특구와 관련해 052-226-5672로 문의할 수 있다.
울산고래축제
한편 장생포 고래문화특구 일원에서 오는 9월 26일부터 29일까지 ‘울산고래축제’가 열린다.

선사시대부터 전해지는 고래문화를 기념하기 위해 열리는 울산고래축제는 근대 포경산업의 중심지였던 장생포를 중심으로 1995년부터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장생포의 꿈! 울산의 희망!’을 테마로 열리는 올해의 축제에서는 미디어 퍼포먼스, 개•폐막식, 불꽃 쇼, 뮤지컬 디바 갈라쇼, 고래가요제 등의 메인프로그램이 열려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모든 이의 눈을 사로잡는다.
또한 포스터 디자인 공모전, 플라잉 보드 퍼포먼스, 어린이 그림 그리기 대회, 나만의 퍼레이드 카 만들기 공모전 등의 부대프로그램이 함께 열려 축제를 더욱 풍성하게 꾸린다.
더불어 어린이 놀이공원인 웨일랜드, 상설 공연 프로그램, 장생포 고래문화특구 내 시설 연계 프로그램 등이 열려 다 함께 즐길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한다.

그 외에도 온 가족이 둘러앉아 정겹게 즐길 수 있는 장생식당, 장생주막, 푸드트럭 등이 준비돼 맛있는 먹거리를 맛볼 수 있다.
울산에 방문할 계획이 있다면 9월 중에 들러 장생포 고래문화특구와 울산고래축제를 동시에 즐겨보자.
축제는 무료로 방문할 수 있으며 해당 행사와 관련해 052-226-1999로 문의할 수 있다.
태화강국가정원
한편 울산 중구 태화강국가정원길 154에 위치한 ‘태화강국가정원’은 고래를 만날 수 있는 숨은 명소다.

1 급수 생태하천인 태화강을 끼고 있는 태화강국가정원에서는 대나무의 맑은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십리대숲과 더불어 거대한 고래 조형물을 만나볼 수 있다.
작가정원에 자리한 거대한 고래조형물은 녹음이 짙은 초록과 어우러져 더욱 아름다운 풍경을 자아낸다.
눈을 사로잡는 화려함은 없지만 사진 찍기에 충분히 아름다운 풍경을 뽐내니, 고래를 좋아하는 아이와 함께 방문해 보도록 하자.
태화강국가정원은 연중무휴 무료로 운영하며 자차로 방문 시 이용할 수 있는 주차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덧붙여 이곳과 관련해 052-229-3147로 문의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