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멀미가 나는 명소
송광사 대웅전 앞에 / 배롱나무 한 그루 / 너른하게 꽃피우고 있었다
다붓한 절간 / 눈맛나는 붉은 꽃숭어리마다 / 술렁이는 꽃빛발에 / 대웅전 부처님은 낯꽃 피고 / 나는 꽃멀미로 어지러웠다
허형만 시인의 ‘배롱나무 부처’를 들으면 차분한 사찰을 배경으로 흩날리는 고운 배롱나무꽃이 떠오른다. 이번 7월, 꽃멀미가 날 정도로 풍성한 진분홍빛 꽃을 보러 여행을 떠나보는 것은 어떨까.
한국에서 삼보사찰로 손꼽히는 고즈넉한 사찰부터 우리의 역사를 두 눈에 담을 수 있는 역사명소, 국가정원 1호로 지정된 장소까지 한 번에 즐길 수 있다.
송광사
전남 순천시 송광사안길 100 불일서점에 위치한 ‘송광사’는 조계산 자락에 자리해 있는 사찰로 대한불교 조계종 제21교구 본사이자 국보 제56호다.
양산 ‘통도사’, 합천 ‘해인사’와 더불어 한국의 ‘삼보(三寶) 사찰’ 중 승보사찰로 통한다. 송광사지(松廣寺誌)의 기록에 따르면, 신라말기의 승려인 혜린선사가 ‘길상사’라는 이름으로 창건한 것이 그 시초다.
거대한 규모와 유서 깊은 역사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목조삼존불감’, ‘고려고종제서’, ‘대승아비달마잡집론소’ 등 전해져 내려오는 문화재 및 보물도 매우 다양하다.
한편, 이곳은 사찰을 더욱 찬란하게 빛내주는 배롱나무 명소로 유명하다. 확인 결과 현재는 약 20%가량 개화하였으며, 이번주 주말에 만개할 전망이다.
오는 주말부터 약 1달 동안 분홍비가 내리는 송광사를 누릴 수 있으니 조만간 방문해 보도록 하자.
또한 사찰 내부에는 법정스님께서 자주 걸으신 길로 유명한 무소유길이 마련되어 있어 사색하기에 매우 좋다. 길에는 편백나무, 삼나무, 대나무 등을 비롯해 다양한 식물들이 식재되어 있어 볼거리가 풍부하다.
더불어 듣기만 해도 시원해지는 물소리와 선선한 공기를 선사하는 계곡이 있어 여름철 힐링을 즐길 수 있다.
자차로 방문 시 이용할 수 있는 주차공간이 쾌적하게 마련되어 있으며 이곳과 관련해 061-755-0107로 문의할 수 있다.
순천 낙안읍성
배롱나무가 가득 핀 송광사에 방문했다면, 이번에는 근사한 야경을 볼 수 있는 역사명소로 떠나보도록 하자.
전남 순천시 낙안면 충민길 30에 위치한 ‘순천 낙안읍성’은 1397년(태조 6) 일본군이 침입하자 ‘김빈길’ 장군이 의병을 일으켜 쌓은 토성으로 총길이 1,420m, 높이 4m, 너비 3~4m의 규모를 지녔다.
마을은 옛 모습을 지니고 있는 전통마을로 전통적인 양식을 한 부엌, 토방, 툇마루 등이 잘 보존되어 있다.
또한 돌계단을 올라 다다른 성벽 정상에서는 조국을 지키기 위해 몸을 아끼지 않던 의병분들의 이름이 깃발로 흔들리는 풍경을 비롯해 마을 전체의 경치를 조망할 수 있다.
마을 내부에는 기념품 판매점, 맛있는 음식을 맛볼 수 있는 식당 및 카페 등이 있어 낙안읍성의 분위기를 한껏 느낄 수 있다. 인근에는 동화사, 고인돌 공원, 주암호 등의 관광지가 있어 함께 방문하기에 좋다.
순천 낙안읍성은 성인 4000원, 청소년 및 군인 2500원, 어린이 1500원의 입장료가 들며 자차로 방문 시 이용할 수 있는 주차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덧붙여, 해당 마을은 실제 주민이 거주하는 공간으로, 관광예절 및 기본매너에 더욱 유의해야 한다.
순천만국가정원
이번에는 순천을 들른다면 매번 갈 수밖에 없는 매력을 지닌 자연명소로 떠나보도록 하자. 전남 순천시 국가정원1호길 47에 위치한 ‘순천만국가정원’은 한국인에게 사랑받는 국가정원 1호로 남녀노소가 모두 즐길 수 있는 자연의 장이다.
국가정원 내에는 한국, 중국, 일본, 태국, 미국, 스페인, 멕시코, 이탈리아, 네덜란드, 프랑스 등 전 세계의 정원을 관람할 수 있는 ‘세계전통정원’부터 현충정원, 꿈틀정원, 장독대정원 등을 볼 수 있는 ‘테마정원’, ‘개방정원’ 등이 자리해 있다.
또한 반려 돌봄 인구가 편하게 정원을 즐길 수 있도록 반려견 무료 돌봄 서비스인 ‘반려견 놀이터’를 제공한다. 더불어 매섭게 내리쬐는 햇볕과 변덕스러운 장맛비를 막아줄 실내 식물원이 아름답게 조성되어 있어 어떠한 조건에도 쾌적하게 정원을 누릴 수 있다.
순천만국가정원은 4월~12월 기준으로 매일 9~21시(야간 시간대는 17~21시)에 관람할 수 있다. 매월 마지막주 월요일은 휴무일이며 기상 여건 등의 사정에 따라 입장, 폐장 시간이 변경될 수 있다.
성인 만원, 청소년 7천 원, 어린이 5천 원의 입장료가 들며 이곳과 관련해 061-749-3114로 문의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