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콜라, 정말 건강한 선택일까?
인슐린과 동맥경화에 미치는 영향

달콤한 무설탕 음료, 정말 건강에 이로울까? 체중 관리와 건강을 위해 선택한 제로콜라가 오히려 심혈관 질환을 유발할 수도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스웨덴 카롤린스카의대 연구팀은 제로콜라의 주성분인 아스파탐(aspartame)이 인슐린 수치를 높이고, 동맥경화를 촉진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실험 결과, 아스파탐을 섭취한 생쥐들은 그렇지 않은 생쥐들보다 혈관 내 지방 플라크가 더 많이 형성됐으며, 염증 수치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기적으로 심근경색이나 뇌졸중 등의 심각한 질환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시사한다.

연구팀은 12주 동안 생쥐들에게 체중 대비 아스파탐 0.15%가 포함된 먹이를 제공했다. 이는 인간이 하루에 제로콜라 약 3캔을 마시는 것과 비슷한 수준이다.
실험 결과, 아스파탐 섭취 그룹은 인슐린 수치가 급격히 증가하며 동맥 내부에 지방 플라크가 더욱 빠르게 쌓였다.
연구진은 “아스파탐은 설탕보다 200배 더 단맛을 내는데, 이 성분이 단맛 감지 수용체를 속여 인슐린 분비를 유도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즉, 몸이 단맛을 감지하고 실제로 혈당이 상승한 것처럼 반응하면서 인슐린이 과다 분비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인슐린 증가 현상은 혈관 내벽에 있는 면역 신호 단백질(CX3CL1)을 활성화해 혈관 내부에 지방 침전물인 플라크를 더 빠르게 축적하도록 만든다.
플라크가 쌓이면 혈관이 좁아지고 탄력을 잃어 동맥경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연구팀은 추가 실험을 통해, 아스파탐을 섭취한 생쥐들의 면역 신호 단백질을 제거했을 때 플라크 형성이 억제되는 현상을 확인했다.
이는 아스파탐이 단순히 혈당 조절뿐만 아니라 심혈관 건강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아스파탐과 심혈관 질환의 연관성은 동물 실험뿐만 아니라 인체 실험을 통해서도 추가 검증될 예정이다.

연구팀은 “제로콜라를 포함한 인공 감미료가 들어간 식품이 점점 더 많이 소비되고 있는 만큼, 장기적인 건강 영향에 대해 더 깊이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앞으로 인간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진행해 보다 정확한 인체 반응을 분석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023년 아스파탐을 “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물질”로 분류한 바 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 또한 아스파탐이 심혈관 질환 및 당뇨병과 연관이 있을 가능성을 고려해 체중 1kg당 하루 50mg 이하로 섭취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하지만 많은 가공식품과 음료에서 여전히 아스파탐이 사용되고 있어 소비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전문가들은 “아스파탐이 당장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장기간 섭취할 경우 예상치 못한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며 “특히 심혈관 질환 위험이 높은 사람들은 인공 감미료 섭취를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결국 제로칼로리 음료가 반드시 ‘건강한 선택’은 아닐 수 있다는 점을 소비자들이 인지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과학 저널 ‘셀 메타볼리즘(Cell Metabolism)’에 게재되었으며, 향후 인공 감미료의 장기적인 영향에 대한 추가 연구가 이어질 전망이다.
제로칼로리 음료가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는 가운데, 건강을 위한 최선의 선택이 무엇인지 다시 한번 고민해볼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