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개월 후면 운전자가 사라진다”… 새로운 미래 선언에 업계 ‘발칵’

댓글 0

미래를 향한 도전
로보택시가 바꿀 미래
출처: 테슬라 (로보택시 콘셉트카)

전기차 시장의 패러다임을 흔든 일론 머스크가 이번엔 자율주행의 혁명을 예고했다.

테슬라는 오는 6월부터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에서 운전자 없는 무인택시, 즉 ‘로보택시’ 서비스를 선보인다고 발표했다. 머스크의 이 같은 선언은 자동차 산업의 지형을 바꾸는 획기적인 도전이 될 전망이다.

29일(현지시간) 테슬라의 4분기 실적 발표 이후 진행된 콘퍼런스콜에서 머스크는 “오는 6월 오스틴에서 운전자 감독이 없는 완전자율주행(FSD) 로보택시를 유료 서비스로 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제는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니라 말 그대로 5개월 후의 일”이라며 확신에 찬 발언을 이어갔다.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머스크는 또한 “올해 말까지 미국 내 다른 도시들에서도 서비스를 확장하고, 내년에는 미국 전역에서 자율주행 택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빠른 확산을 예고했다.

로보택시 서비스는 우선 테슬라 내부 차량을 이용해 운행되며, 향후 개인이 보유한 차량도 호출 서비스에 추가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는 숙박공유 플랫폼 ‘에어비앤비’ 방식과 유사한 개념으로, 차량 소유자가 자신의 테슬라를 호출 서비스에 등록하고 운행하도록 하는 모델이다.

테슬라는 그동안 자율주행 기술 발전에 매진해왔다. 머스크는 이번 발표에서 “사람들은 FSD 13버전에서 성능 개선을 경험했으며, 버전 14는 더욱 진보된 기술을 탑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이어 “완전자율주행 기술이 진정한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으며, 드디어 실용화 단계에 도달했다”고 밝혔다.

자율주행 기술에 대한 시장의 의구심에도 불구하고, 테슬라는 로보택시 전용 차량인 ‘사이버캡(Cybercab)’을 개발 중이며, 오는 2026년부터 본격적인 양산에 들어갈 계획이다. 이를 통해 본격적인 무인택시 시대를 열겠다는 구상이다.

한편, 테슬라는 이날 2023년 4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4분기 매출은 257억700만 달러(약 37조1천466억 원)로 시장 예상치에 미치지 못했다.

자동차 부문 매출은 전년 대비 8% 감소한 197억9천80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23% 줄어든 15억8천3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이에 대해 테슬라는 “차량 판매 단가 하락이 실적 감소의 주요 원인”이라며 “가격 정책 및 금융 옵션으로 인해 평균 판매 단가(ASP)가 낮아졌다”고 설명했다.

특히 지난해 하반기 재고 해소를 위해 실시한 대규모 할인 정책이 수익성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테슬라는 장기적으로 자율주행 기술과 로봇 개발에 집중 투자하며 새로운 수익 모델을 창출할 계획이다.

머스크는 “현재 자율주행과 AI(인공지능) 기술을 현실 세계에서 가장 잘 구현하는 회사는 테슬라”라며 “향후 몇 년 내 테슬라의 혁신적인 기술들이 폭발적인 성장을 이끌 것”이라고 자신감을 드러냈다.

출처: 테슬라 (로보택시 콘셉트카)

머스크의 발표 이후 시장은 테슬라의 새로운 도전에 주목하고 있다. 로보택시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가동될 경우, 차량 소유 개념 자체가 변화할 가능성이 크다.

소비자들은 직접 차량을 구매하지 않고, 필요할 때마다 자율주행 차량을 호출하는 방식으로 이동 패턴을 바꿀 수도 있다.

또한, 기존 자동차 제조업체들과 차량 공유 서비스 기업들도 이에 대한 대응 전략을 세우는 등 업계 전체가 재편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우버(Uber)나 리프트(Lyft) 같은 차량 호출 서비스 기업들은 테슬라의 로보택시 서비스가 강력한 경쟁자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머스크가 예고한 ‘운전자 없는 미래’가 정말 현실화될 수 있을까? 6월, 오스틴에서 시작될 테슬라의 로보택시 서비스가 그 해답을 제시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Copyright ⓒ 발품뉴스.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관심 집중 콘텐츠

역시 벤츠 “신개념 자동차 나온다”… 과감한 도전에 전세계가 ‘주목’

더보기

sUV와 세단 사이 갈팡질팡 끝나나 “이런 차를 원했다”… 기아자동차 비장의 카드 ‘화제’

더보기

하이브리드에 사륜구동까지 “소형 SUV 한계 뛰어 넘었다”… 더 강해져 돌아온 이 車의 정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