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은 자율주행시대
한국 자율주행 산업이 글로벌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해 정책적 지원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11일, 서울 서초구 자동차회관에서 열린 ‘2024 자율주행 열린 간담회’에서는 자율주행 산업의 발전을 위한 재정·정책적 지원 확대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이번 간담회는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와 한국자율주행산업협회(KAAMI)가 공동으로 주최했으며, 정부와 업계, 연구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해 국내 자율주행 기술의 현주소와 향후 전략을 논의했다.
강남훈 KAMA 회장은 미국과 중국이 무인 로보택시를 중심으로 빠르게 자율주행 서비스를 상용화하고 있는 상황을 언급하며, 한국이 2027년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소 더딘 대응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국내 자율주행 산업이 주요국과 같은 속도로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정부의 재정적,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성환 KAAMI 회장 역시 “글로벌 자율주행 산업이 기술 발전과 기회 발굴에서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며, 국내 자율주행 산업이 그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연구개발(R&D) 사업 확대와 법규 정비 등 신속한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안정적인 자율주행 환경 조성을 위한 정부와 업계 간의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
업계에서도 국내 자율주행 산업이 글로벌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한 구체적인 제언이 이어졌다.
유민상 오토노머스에이투지 상무는 “미국은 법규 없이 가이드라인만 유지하고, 중국은 국가 차원에서 기업을 전폭적으로 지원하고 있다”며, 한국의 자본시장 규모가 작은 상황에서 보다 과감한 특례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법적 제도를 완비한 후에 시장을 개방하는 방식보다는, 수량 제한을 완화하는 등 실질적인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지성 에스오에스랩 대표는 자율주행 분야에서 라이다(LiDAR) 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국제표준이 아직 확립되지 않은 만큼 한국이 라이다 기술에서 주도권을 잡을 수 있는 기회를 잡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정부와 학계, 산업계가 협력해 자율주행의 한 영역에서라도 한국이 선도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고 빠르게 실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 측도 자율주행 산업 발전을 위한 의지를 밝혔다. 정병규 국무조정실 기획관은 자율주행이 미래 혁신 사업으로 지정되어 있음을 언급하며, “이번 간담회에서 나온 업계의 목소리를 반영해 자율주행 기술 발전을 위한 정책적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정기 자동차안전연구원 자율주행본부장은 UN 국제기준과 각국의 자율주행 정책을 비교 설명하며, 국내 자율주행차의 신속한 상용화를 위해 법·제도적 준비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간담회를 통해 도출된 다양한 의견은 향후 자율주행 정책 제안에 반영될 예정이다.
KAMA와 KAAMI는 자율주행 산업 발전을 위한 중추적인 역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국내 자율주행 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업계, 연구기관 간의 긴밀한 협력과 더불어, 보다 과감하고 혁신적인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이 이번 간담회의 주요 결론으로 도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