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만대 리콜 시작
국산차, 수입차 모두 진행
자동차 리콜은 제조사가 차량의 결함이나 안전상의 문제를 발견했을 때, 해당 모델을 수리하거나 교체하기 위해 시장에서 회수하는 절차를 말한다.
리콜은 차량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이기 때문에 반드시 받아야한다.
최근에도 리콜 조치 소식이 전해져 자동차 운전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25일 발표한 바에 따르면, 기아, 현대차, 테슬라코리아, 폭스바겐그룹코리아, 한국토요타자동차에서 제조하거나 국내에 들여온 총 32종의 차량 43만 534대에서 결함이 확인되어 자발적으로 수정 조치를 취하기로 했다.
먼저 기아에서는 K5 등 차량 21만 283대가 전자제어 유압 장치(HECU)의 내구성 문제로 인해 지난 22일부터 리콜 절차에 들어갔다.
또한, 니로 EV에서는 1,986대에 대해 고전압 배터리의 전원 차단 장치에 제조상의 결함이 있어 지난 24일부터 수정 작업을 시작했다.
이어 현대차는 투싼을 포함한 세 차종 총 17만 8천 489대에서 HECU(전자제어 유압장치)의 내구성 문제를 발견해 오는 30일부터 리콜 조치를 시작할 예정이다.
또한 현대차의 프리미엄 브랜드인 제네시스에서는 GV80과 또 다른 모델 3,142대에서 전동 사이드스텝(자동 발받침대)의 설계상 오류로 인해 연료탱크가 손상될 위험이 있어, 이에 대한 시정 작업을 31일부터 실시할 계획이다.
여러 수입차 업체들도 리콜에 나선다. 테슬라코리아는 모델 Y 22,072대에 대해 등화장치의 설치 기준 미달로 인한 리콜을 26일부터 시작한다.
폭스바겐그룹코리아는 아우디 A3 40 TFSI 등 5개 모델, 총 5,341대에서 연료펌프의 제조상 결함이 발견되어 화재 위험이 있음을 인지하고, 이에 대한 시정 작업을 같은 날인 26일부터 시작할 예정이다.
아우디의 전기차 모델인 이트론 55 콰트로 833대 또한 고전압 배터리 모듈의 제조 결함으로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이에 대한 시정 조치가 이미 24일부터 진행되고 있다.
한국토요타자동차는 렉서스 ES300h 포함 13개 모델 5,559대에서 전·후방 카메라의 용접 문제가 확인되어 리콜을 실시한다.
또한 NX350h를 비롯한 4개 모델 2,829대는 전방 인식 카메라의 소프트웨어 결함으로 인해 리콜 조치가 취해집니다. 이번 리콜은 25일부터 시작된다.
차량 소유자는 자동차 리콜 센터 웹사이트(car.go.kr)에 접속하거나 전화(☎ 080-357-2500)로 문의하여 자신의 차량이 리콜 대상인지, 그리고 어떤 결함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차대번호나 차량번호를 제공하면 자세한 정보를 알 수 있다.
차량 소유자는 지정된 날짜부터 조속히 해당 결함을 확인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변수가 많은 여름철에도 안전한 운행을 유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