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그룹, 세계 4위로 밀리나
일본 자동차 업계 대변화
일본 자동차 업계가 큰 지각변동을 예고하고 있다. 혼다와 닛산이 경영 통합을 위해 지주회사 설립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지며, 한국 현대자동차그룹이 세계 3위 자리를 위협받고 있다.
18일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과 NHK 등에 따르면 혼다와 닛산은 각각 지주회사 체제 아래 들어가는 방식으로 경영 통합을 논의 중이다.
닛산이 최대 주주로 있는 미쓰비시자동차까지 참여하면 연간 판매량 800만 대를 넘기며 세계 3위 자동차 그룹으로 도약할 가능성이 크다.
혼다(398만 대)와 닛산(337만 대)의 판매량을 합치면 735만 대로, 현재 3위인 현대차·기아(730만 대)를 제치게 된다.
이는 세계 자동차 시장에서 도요타그룹(1123만 대), 폭스바겐그룹(923만 대)에 이어 3위에 해당하는 대규모 통합이다.
혼다와 닛산의 협력 배경에는 치열한 기술 경쟁이 자리하고 있다. 미국 테슬라와 중국 BYD 등 전기차(EV) 선도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을 지배하면서, 혼다와 닛산은 급변하는 시장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투자와 기술을 결합하는 방안을 모색해왔다.
특히 전기차와 차량 소프트웨어(SW), 자율주행 기술 개발을 위한 막대한 자금과 노하우가 필요한 상황이다.
양사는 이미 지난 3월부터 배터리와 자율주행 기술, 차량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협력을 검토해왔다. 일본 현지 언론들은 “두 회사가 덩치를 키워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의도”라고 분석했다.
그러나 통합이 성사되기까지 해결해야 할 과제도 적지 않다. 혼다와 닛산은 각기 다른 기업 문화를 가지고 있어 완전한 통합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일부 전문가들은 혼다가 경영난을 겪는 닛산과의 협력이 장기적으로 손해가 될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한다.
또한 다른 현지 언론도 “양사가 경영 통합을 통해 덩치를 키우더라도 전기차 및 자율주행 시장에서 선도 기업을 따라잡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고 보도했다.
혼다와 닛산이 통합하면, 일본 자동차 업계는 도요타그룹에 이어 독보적인 2위 기업을 탄생시키게 된다. 그러나 합병에 따른 긍정적 전망에도, 시장에서는 양사 간 협력의 성공 가능성을 두고 회의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한편, 현대차·기아는 이번 일본 기업 간 통합이 실제로 이뤄질 경우, 글로벌 시장에서 4위로 밀릴 가능성이 커졌다. 자동차 시장의 판도 변화가 국내 자동차 업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