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화재사고, 이걸로 끝”… 기존 충전기 절반을 ‘이것’으로 교체

댓글 0

과충전 예방 안 되는 일반 완속충전기 구축 종료
출처 : 연합뉴스 (지난 12일 서울 시내 한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 설치된 고정형 전기차 충전기에 운영 중단 안내문이 붙어 있다.)

2025년부터 과충전 예방 기능이 탑재된 전기차 충전기만 설치된다.

환경부 예산안에 따르면 내년엔 전력선통신(PLC) 모뎀이 포함된 일명 ‘스마트 제어 완속충전기’만 추가 보급된다.

PLC 모뎀이 설치된 충전기는 전기차로부터 실시간 배터리 정보를 전달받아 과충전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급속충전기는 보통 PLC 모뎀이 이미 장착되어 있지만, 완속충전기의 경우 이제야 해당 모뎀이 포함된 모델이 보급되고 있다.

내년부터 ‘스마트 제어 완속충전기’만 설치

환경부는 내년에 전기차 전용 급속충전기 4천기와 완속충전기 7만1천기를 신규 보급할 예정이다.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최근 잘 사용되지 않는 일반 완속충전기의 구축사업은 종료하며, 완속충전기를 모두 스마트 제어 충전기로 설치하는 방안을 채택했다.

또 설치한 지 5년 이상 된 완속충전기(총 4만기로 추정) 중 절반을 내년에 스마트 제어 충전기로 바꾼다.

대다수의 전기차 화재사고 원인으로 꼽힌 ‘과충전 현상’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함이다.

한편 화재 위험성이 제시돼 전기차가 보다 인기를 잃은 현시점, 보조금을 그대로 유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있었으나 환경부는 보조금을 줄이는 것을 선택했다.

출처 : 연합뉴스 (전기차 화재 견인작업중 소화)

환경부 관계자는 “7월 말 기준 전기승용차 및 전기버스의 보조금은 작년보다 더 집행되었다”며 “그러나 전기화물차는 LPG 화물차의 인기에 집행률이 여전히 저조하다”고 덧붙였다.

전기차 보조금, ‘이것’으로 결정 난다

환경부는 ‘배터리 안전관리에 도움 되는 기능’의 탑재 여부에 따라 보조금을 다르게 측정하는 방안을 도입하기로 했다.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배터리관리시스템(BMS) 공개 여부가 판가름을 할 것으로 보인다.

내년 전기차 보금 목표는 올해보다 7천대 많은 33만 9천대로 측정되었다. 수소차 보급 목표는 올해보다 4천470대 증가한 1만 3천30대로 설정됐다.

충전기 설치 비용을 포함해 무공해차 보급에 지급된 예산은 3조 1천915억 원으로 올해보다 4.5% 늘어났다.

또 무공해차 보급을 비롯한 기후•탄소중립 분야 예산은 올해보다 2.9% 증가한 4조 6천266억 원을 기록했다.

Copyright ⓒ 발품뉴스.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관심 집중 콘텐츠

“국민연금 300만원 수급자 최초 등장”… 대체 비결이 뭐길래

더보기

카니발·스포티지로 대박치더니 “상상초월 기록 터졌다”… 대체 무슨 일이길래

더보기

심상치 않더니 “결국 1000대 돌파”… 갑자기 불어온 돌풍에 국내 완성차 업계 ‘술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