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내 중고차 시세도 좋아지나?”… 확 바뀐 자동차 시장 분위기, 2030이 좋아하는 차는?

댓글 0

경제 불황 속 젊은층의 수요 변화
요노(YONO)족들의 선택은?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모든 시대는 그 나름의 소비 트렌드를 가지고 있으며, 경제 상황이나 개인의 선호에 따라 수요가 다양하게 변화한다.

특히 고가의 소비재로 분류되는 자동차 시장에서는 이러한 변화가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최근에는 특히 2030세대를 중심으로 한 중고차 시장에서 주목할 만한 동향이 나타나고 있어 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2030세대 사이에서 한때 ‘욜로(You Only Live Once)’가 유행했다면 이제는 소비 철학이 ‘요노(You Only Need One)’로 전환된 것으로 보인다.

요노는 꼭 필요한 물건만 사는 소비자를 일컫는 말로 실속과 경제성을 중요시하는 소비 경향이 급부상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특히 중고차 시장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국내 주요 중고차 직영 플랫폼인 K Car(케이카)가 최근 발표한 ‘내차사기 홈서비스’의 상반기 판매 자료 분석에 따르면, 2030세대가 선호하는 중고차의 크기가 준대형에서 준중형 및 중형으로 변화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최근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2030세대가 올해 상반기에 가장 많이 선택한 자동차는 ‘현대 아반떼 AD’였으며, 그 뒤를 이어 ‘현대 쏘나타 DN8’, ‘기아 더 뉴 레이’, ‘기아 K5 3세대’, ‘현대 그랜저 IG’ 순으로 나타났다.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올해 상반기에는 준대형 차량이 인기 목록에서 제외되어, 지난해와는 판매 동향이 크게 달라졌다.

지난 2023년 상반기에는 상위 5개 차량 중 세 대가 준대형이었으나, 올해는 ‘현대 그랜저 IG’를 제외하고는 더 경제적이고 실용적인 모델이 선호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차량 구매 시 경제성과 실용성을 중시하는 소비 패턴으로의 전환을 시사한다.

지속적인 경제 불황과 소비자 트렌드의 변화가 신차 보다는 2030세대의 중고차 구매 증가를 이끌고 있다. ‘내차사기 홈서비스’를 통한 올 상반기의 2030 고객 비율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약 0.9% 상승했다.

출처: 케이카

또한, NH농협은행의 최근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대비 올해 상반기 2030세대의 중고차 구매가 2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K카의 정인국 대표는 “경제 침체가 지속되면서 큰 지출에 부담을 느낀 2030 소비자들이 더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소비로 전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중고차 시장의 성장은 환경 보호에도 긍정적이며, 신차에 비해 저렴한 비용으로 다양한 차종을 선택할 수 있어 이 추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Copyright ⓒ 발품뉴스.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관심 집중 콘텐츠

포르쉐 마저 제치다니 “이것이 미래의 럭셔리다”… 뜻밖의 승자 출현에 시장 ‘술렁’

더보기

패밀리 SUV에 드디어 고성능 탑재… 벤츠·BMW 놀래킬 폭스바겐 비장의 카드 공개

더보기

한국에 없는 팰리세이드로 “미국인들 사로잡았다”… 북미 SUV 시장 돌풍 일으킬 車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