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 얘기가 아냐”… 폭스바겐까지 휘청이는 자동차 업계

댓글 0

CNN “글로벌 자동차 업체의 황금기는 끝났다”
출처 : 연합뉴스 (독일 폭스바겐 공장)

중국 전기차 업체들의 유례없는 호황으로 인해 세계 자동차 산업이 위태로운 격변기를 맞고 있다.

현지시간 기준 4일 미국 CNN은 “글로벌 자동차 업체들이 중국서 누렸던 황금기가 끝났다”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중국 내 자동차 판매 정체가 최근 폭스바겐의 수익 악화를 야기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번해 상반기 폭스바겐의 중국 내 판매량은 총 134만대로, 3년 전에 비해 25% 이상 감소했다.

재작년까지만 해도 중국에서 가장 잘 팔리던 폭스바겐은 작년에 그 명예를 중국 업체인 비야디(BYD)에 빼앗겼다.

테슬라 진출 후 中 전기차 업계 ‘성황’

한편 중국에서 하락세를 탄 글로벌 자동차 브랜드는 폭스바겐뿐만이 아니다.

출처 : 연합뉴스 (중국 상하이의 테슬라 매장)

중국승용차시장정보연석회(CPCA)의 자료에 의하면, 지난 7월 중국 자동차 업계에서 외국 업체들의 총점유율은 33%로, 2년 전의 53%에 비해 20% 포인트가 폭락했다.

이러한 판매 현황으로 인해 중국에 진출한 외국 자동차 기업들도 수익에 큰 타격을 받았다.

우선 도요타의 중국 합작사가 지난 분기 기록한 수익은 작년보다 무려 73% 하락했다.

제너럴모터스(GM)의 중국 합작사 또한 올해 2분기 연달아 적자를 냈다. GM CEO는 최근 실적 콘퍼런스콜에서 “현재 중국에서 돈을 벌고 있는 자동차 업체는 거의 없다”고 말했다.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CNN은 작년 10월 일본 미쓰비시자동차가 수년간의 적자로 인해 중국 합작사의 생산 종료를 발표한 것과 더불어 혼다와 포드, 현대차 등도 잇달아 공장 폐쇄를 결정했다고 전했다.

또 이들은 테슬라가 중국에 진출한 뒤 이러한 변화가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테슬라 진출이 불러일으킨 ‘나비효과’

미국 전기차 업체인 테슬라가 2019년 말 중국에서 전기차 생산을 시작한 이래로 중국 자동차 시장의 전기차 전환이 불 번지듯 성행했다는 것이다.

출처 : 연합뉴스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의 전시장에서 비야디 차량을 살펴보는 방문객)

전기차 전문 컨설팅 회사의 CEO인 마이클 던은 “테슬라가 상하이에서 모델 3을 생산하면서 중국 소비자들의 이목이 전기차에 집중되었다”고 설명했다.

테슬라 특유의 쿨하고 세련된 이미지가 중국인들에게 효과적으로 작용했고, 이것이 중국의 전기차 업체인 비야디, 네오, 리 오토 등에 힘을 실어줬다는 것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중국 내 전기차•플러그인하이브리드 모델의 판매량이 올해 1천만 대를 기록하며 중국 전체 자동차 판매량의 절반을 차지할 전망이다.

또 중국인들의 세대교체 및 인식변화 등의 사회현상도 자국 브랜드의 도약에 기반이 된 것으로 보인다.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자동차 전문 컨설팅 회사 ‘시노 오토 인사이츠’의 관계자는 “1990~2000년대에 자동차를 구입한 중국의 부모세대는 자국 브랜드를 신뢰하지 않았다”며 “그러나 현시장을 주도하는 그들의 자녀들은 알리바바와 위챗을 이용하며 자라 중국 브랜드를 소비하는 데에 부정적인 인식이 없다”고 설명했다.

Copyright ⓒ 발품뉴스.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관심 집중 콘텐츠

“이 정도면 아빠차 1등 확정이네”… 신형 팰리세이드 숨겨둔 모든 것 공개되자 ‘감탄’

더보기

기존 상식을 ‘팍’ 깨부순 車, “가격을 내리다니”… 소비자들 ‘들썩’

더보기

“이게 국산차라니 그저 감탄만 나와”… 페라리·람보르기니도 반할 비주얼 공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