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전기차인데 왜 이렇게 다를까?
2025년 전기차 구매 보조금 개편
환경부가 2025년 전기차 구매 보조금 개편안을 발표하며 국내 제조사들에게는 호재로, 해외 제조사들에게는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가격 기준과 성능 조건이 강화되면서 국내 배터리를 사용하는 모델들이 큰 혜택을 볼 전망이다.
이번 개편안의 핵심은 차량 가격과 성능 기준의 강화다. 차량 가격이 5,300만 원 이하일 경우 보조금 100%를 받을 수 있지만, 5,300만 원을 초과하면 50%, 8,500만 원 이상일 경우 보조금을 전혀 받을 수 없다.
이와 더불어 1회 충전 주행거리가 중대형 기준 440km, 소형 기준 280km에 미달하는 차량은 10km당 최대 8만 1,000원의 보조금이 삭감된다.
배터리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추가 지원도 마련되었다. 배터리 상태정보 제공, 이상 감지 기능이 있는 차량은 최대 50만 원의 보조금을 추가로 받을 수 있다.
이는 최근 전기차 화재 사고 이후 강화된 안전 대책의 일환으로, 국내 배터리를 사용하는 모델들에게 유리하게 작용한다.
현대차 아이오닉 6와 기아 EV6는 강화된 조건을 충족하며 최대 보조금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반면 테슬라 모델Y는 리튬인산철(LFP) 배터리의 낮은 효율성과 짧은 주행거리로 인해 보조금이 160만~170만 원으로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테슬라와 BMW는 제조물 책임보험에 가입하지 않아 7월부터 보조금을 지급받지 못할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이는 한국 시장에서 이들 브랜드의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요소가 될 수 있다.
이번 개편안은 전기차 보급을 가속화하기 위해 소비자 혜택을 확대했다. 생애 첫 차를 전기차로 구매하는 청년층은 기존 보조금에 20%를 추가 지원받을 수 있으며, 다자녀 가구는 자녀 수에 따라 최대 300만 원까지 추가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정책은 전기차 구매 부담을 줄이고 보급률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평가받고 있다.
보조금 제도 변경에 따라 제조사들의 가격 정책도 조정되고 있다.
현대차와 기아는 보조금 100%를 받기 위해 차량 가격을 5,300만 원 이하로 조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며, KG모빌리티는 토레스 EVX에 5% 할인 혜택을 적용했다. 이는 보조금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소비자 가격을 낮추는 전략이다.
환경부는 이번 개편안을 통해 전기버스와 수소버스 지원 정책도 수정했다. 기존 중국산 전기버스에 지급되던 최대 500만 원의 추가 지원금은 폐지되었으며, 국내 제조사만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조건이 추가되었다.
수소버스와 어린이 통학용 버스를 보급한 실적이 있는 제조사에게는 최대 700만 원의 추가 지원금이 제공된다.
이번 전기차 보조금 개편안은 국내 제조사들에게는 유리한 환경을, 해외 제조사들에게는 새로운 도전을 안겨주고 있다.
강화된 기준과 추가 인센티브가 전기차 시장의 구조를 어떻게 변화시킬지 주목된다. 소비자와 제조사 모두 이 변화에 적응하며 전기차 보급의 가속화를 이끌어낼 것으로 기대된다.
밀려들어올 중국산전기차에는 날개를 달아주는 방침이다
대책을 세워야될듯
앞으로 문제는 테슬라가 아님 저렴하고 연비좋은 중국산전기차 어쩔거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