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최초의 연꽃 재배지”… 드라이브•산책에 딱인 ‘서울근교 나들이 명소’

댓글 3

연간 12만 명이 방문한 수도권 관광지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경기 시흥시 연꽃테마파크)

아직은 연잎 하나 피지 않았지만, 머지않아 물가를 따라 하얀 연꽃이 하나둘 피어나기 시작할 것이다.

햇살이 부드럽게 내려앉고 바람결에 봄내음이 실려 오는 지금, 이곳엔 사람들의 발길이 드문 대신 고요한 풍경이 자리하고 있다. 오히려 그런 정적 속에서 계절의 흐름은 더욱 또렷하게 느껴진다.

수도권 중심에서 멀지 않은 이 연못가엔 지금, 누구도 쉽게 알아채지 못할 작은 변화들이 일어나고 있다. 낡은 길은 정비되고, 오래된 공간은 새 옷을 갈아입을 채비를 마쳤다.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경기 시흥시 연꽃테마파크)

지금은 잠시 멈춘 듯 조용하지만, 이곳은 곧 계절마다 전혀 다른 표정을 지어내며 사람들을 불러 모을 예정이다.

조선시대의 시간이 고스란히 스며 있는 이 연못은 단순한 자연 풍경을 넘어, 역사와 이야기가 살아 있는 공간이다.

그 오랜 시간 위에 새로운 숨결을 더하려는 움직임이 시작된 지금, 우리는 왜 다시 이곳을 주목하게 되었을까. 그리고 이 고요한 연못이 향하고 있는 변화의 끝에는 과연 어떤 모습이 기다리고 있을까.

시흥시, 연꽃테마파크 명소화 추진

“12만이 찾던 그곳, 20만이 오게 만든다”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경기 시흥시 연꽃테마파크)

경기 시흥시가 오는 2027년까지 총 159억 원을 들여 ‘연꽃테마파크 명소화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시흥시농업기술센터 소장은 1일 열린 언론브리핑에서 “연꽃의 매력을 충분히 느낄 수 있는 공간으로 다시 꾸미고, 연꽃에 담긴 역사와 가치를 알릴 수 있는 콘텐츠를 도입해 연간 20만 명의 관광객을 유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시는 지난 2007년, 관곡지를 보존하기 위해 하중동 일대의 시유지 3.6헥타르와 사유지 6헥타르에 연꽃테마파크를 조성했다. 이곳은 매년 약 12만 명이 찾는 수도권의 대표 관광지 중 하나다.

관곡지는 조선 초기 문신 강희맹이 중국 명나라에서 연꽃 씨앗을 들여와 국내에서 최초로 재배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 이 일대는 연꽃이 번성하면서 ‘연성’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렸다.

출처 : 시흥시 (경기 시흥시 연꽃테마파크)

관곡지에 피어나는 백련은 꽃잎 끝이 뾰족하고 색이 희다는 점에서 일반 연꽃과 차별화된다.

이번 명소화 사업은 하중택지지구 개발 과정에서 훼손된 그린벨트를 복원하는 차원에서 추진된다.

사업시행자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118억 원을 들여 연꽃테마파크 내 사유지를 매입하고, 정원과 주차장 등을 갖춘 공간으로 꾸며 시에 기부채납할 예정이다.

시는 별도로 41억 원을 투입해 기존 테마파크를 전면 정비하고, 연꽃을 중심으로 한 4개 주제 정원을 마련해 관람 동선을 개선할 방침이다.

출처 : 연합뉴스 (경기도 시흥시 연꽃테마파크를 찾은 시민들이 활짝 핀 연꽃을 감상하고 있다)

아울러 올해 안으로는 전통놀이와 생태체험, 역사 교육, 연꽃 예술작품 전시 등 다양한 계절별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운영해 방문객에게 새로운 체험을 제공할 계획이다.

Copyright ⓒ 발품뉴스.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3

  1. 주차장이나 만들어라 다 길가에 불법주차하게 만들지 말고 20만이 올곳이 안된다

    답변

관심 집중 콘텐츠

“처음 보면 다들 깜짝 놀라요”… 5월 무료로 즐기는 서울근교 장미명소 2곳

더보기

“수도권에서 시간 여행을?”… 독보적인 컨셉 지닌 5월 축제

더보기

“지금은 수목원이 제일 예쁠 시기”… 가족 나들이로 가기 좋은 주말 여행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