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십억 들여서 만들고 부수고 세금 살살 녹는다”… 국내 관광지에서 나타나고 있는 충격적인 시설물 근황

너도 나도 짓는 관광 시설물
지역 주민들 혈세만 계속 낭비

출처: 온라인 커뮤니티 (국내 여행지 시설물)

전국의 많은 지방자치단체들은 관광객들 유치하여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지역의 상징성을 부각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한다. 

이러한 노력으로 여러 아이디어가 나오고 주민들의 세금이 투입돼 실행에 옮기게 된다. 

그러나 졸속행정이라는 소리를 들으며 크게 실패하고, 지역 주민들을 분노하게 만들기도 한다.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사건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자. 

충북 괴산 가마솥

충북 괴산군에 위치한 괴산농산물 유통센터 정자에는 국내에서 가장 큰 가마솥이 있다.

출처: 괴산군 (국내 여행지 시설물)

이 ‘괴산군민가마솥’은 무게가 43.5t, 높이가 2.2m, 둘레가 17.8m에 이를 정도로 거대하다.

거대한 가마솥 옆의 계단을 올라가야만 솥뚜껑을 볼 수 있을 정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마솥은 여기저기 거미줄이 쳐져 있어 오랫동안 사용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제는 ‘애물단지’로 불리는 괴산군민가마솥의 활용에 대한 방안이 충북도와 괴산군에서 심각한 고민으로 이어지고 있다.

출처: 괴산군 (국내 여행지 시설물)

두 지자체는 활용 방안을 찾기 위해 전국적으로 공모를 진행했지만, 적절한 대안은 아직 나오지 않았다.

괴산군이 이 초대형 가마솥을 만들기 시작한 것은 2003년부터다. 당시에는 5억원을 투자하여 2년 동안 건설을 하고, 2005년에 완성하였으며, 기네스북 등재를 목표로 했다.

그러나, 정작 호주에 있는 질그릇에 밀려 기네스북 등재는 실패했다. 또한 괴산군은 이 가마솥을 이용하여 4만 명분의 밥을 지을 수 있다고 자부했다.

출처: 괴산군 (국내 여행지 시설물)

그러나, 바닥이 두껍고 크기가 너무 커서 온도 차이가 심해 밥을 지을 수 없었고, 가마솥을 활용한 옥수수 삶기 행사도 시도하였지만, 지속 가능하지 못했다. 가마솥에서 물을 끓이는 데만 4~5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여기에 더해 2007년 이후로 괴산군은 방치되던 가마솥에 녹이 생기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기름을 칠하는 등 1,000여만원의 예산을 추가 투입하여 그 상태만 유지하고 있다.

출처: 괴산군 (국내 여행지 시설물)

2011년과 2017년에는 가마솥의 활용 방안과 관련하여 이를 지역의 관광 명소인 산막이옛길로 이동시키는 것을 제안했지만 이마저도 쉽지 않은게 이동에만 2억원 이상의 예산이 필요하여 실행되지는 않았다.

거제 짝퉁 거북선

짝퉁 목재의 사용과 헐값 매각 등으로 탄생부터 끊임없는 논란에 휩싸여 있던 경남 거제의 거북선이 지난 7월 해체 및 철거됐다.

출처: 거제시 (국내 여행지 시설물)
출처: 거제시 (국내 여행지 시설물)

거제 거북선은 약 2010년경 ‘이순신 장군 기념사업’의 일부로 제작됐다.

16억원의 제작비를 투입하여 2011년 6월 1일에 준공되었고, 제작 당시 전문가의 고증을 통해 1592년 임진왜란 시절의 모습으로 제작되어 ‘1592 거북선’이라고 불렸다.

그러나 이후에 거북선 제작 업체가 국내산 소나무인 ‘금강송’ 사용을 약속하고도, 80% 이상 외국산 목재를 사용한 것이 밝혀졌다.

출처: 거제시 (국내 여행지 시설물)
출처: 거제시 (국내 여행지 시설물)

업체 대표는 구속되는 등 논란이 일었으며, 이 사건으로 인해 거북선 건조업체 대표는 사기 등의 혐의로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제작 후에도 거북선의 관리는 문제가 되었다. 처음에는 승선 체험과 같은 관광용도로 거북선을 활용할 계획이었지만, 계획대로 진행되지 않았다.

바닥에 물이 차오르는 현상, 기울어짐, 나무의 부식, 태풍 등의 자연재해로 인한 파손이 발생했다.

출처: 거제시 (국내 여행지 시설물)
출처: 거제시 (국내 여행지 시설물)

유지관리비만 1억5000여만원이 소요되었고, 전문 용역업체로부터 ‘재활용이 어렵다’는 판단을 받은 거제시는 결국 거북선을 처분하기로 결정했다.

졸속 관광 행정, 세금 낭비 반복

전국단위로 보면 가마솥과 거북선 이외에도 많은 세금 낭비 시설물들이 있다.

출처: 남원테마파크 (국내 여행지 시설물)

전북 남원에는 약 420억원을 들인 모노레일이 각종 소송 논란에 휩싸여 정상운영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강원도 원주에는 약 50억원을 들인 관광열차도 1년째 방치중이다.

이외에도 부산의 비콘 그라운드, 대구 용암산성 오토캠핑장, 광주 초대형 우체통, 울산 시계탑 기차 등 수많은 시설들이 여전히 방치되거나 세금만 낭비중이다.

Copyright ⓒ 발품뉴스.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관심 집중 콘텐츠

“믿기 힘든 풍경이 서울 근처에?”… 단 두 달, 7만 송이 수국의 숲이 열린다

더보기

“드디어 바뀐다 한 번에 해결”… 건전지도 보조배터리도 상관없는 통합 배출 전격 도입

더보기

“알고보니 무려 43만명 몰렸다”… 지역 상권 ‘들썩’ 축제 경제 효과에 ‘깜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