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이상은 못봐주겠다..” 한국말보다 중국어가 더 많이 들린다는 여행지의 현재상황

‘일본보다는 한국이 더 좋아’ 우르르 몰려오는 이유에 모두가 당황

출처: 여행커뮤니티
출처: 여행커뮤니티

중국인의 단체 여행이 3년 7개월 만에 다시 허용되면서 한국의 관광업계와 경제에 새로운 기대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 문화체육관광부를 비롯한 관광업계가 중국인 관광객을 본격적으로 유치하기 위한 준비에 들어갔습니다.

출처: 여행커뮤니티
출처: 여행커뮤니티

중국인 관광객의 경제적 영향력은 간과할 수 없습니다. 2019년 기준으로 한국을 방문한 중국인은 평균 220만 원을 지출했으며, 이는 외국인 관광객 평균 지출액인 165만 원과 일본인의 90만 원에 비해 상당히 높은 수치입니다.

국내 면세점과 외국인 카지노 등 관광 관련 사업들은 이미 중국인 관광객 유치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렇게 해서 한국은 새로운 관광시장의 가능성과 더불어, 국가 경제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기대하게 되었습니다.

한국이 최고, 그 중에서도 단연 ‘제주’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중국인 단체 여행의 재개가 한국, 특히 제주도에 가져온 파급 효과는 어마어마합니다. 중국 크루즈선 예약이 하루 만에 폭발적으로 늘면서, 제주도는 이를 환영하는 대규모 행사까지 마련했습니다.

현수막과 전통 풍물패 공연, 그리고 꽃다발과 기념품을 전달하는 한복 차림의 도우미들이 중국 관광객을 환영했죠.

출처: 중국여행커뮤니티
출처: 중국여행커뮤니티

제주도는 중국과의 항공 직항노선을 늘리고, 다양한 현지 마케팅 전략을 강구하며, 중국인 관광객 유치에 본격적으로 나섰습니다.

항공사들 역시 제주-중국 노선 확대를 검토 중이며, 제주도 자체도 내년까지 현존하는 직항 노선을 대폭 확장할 계획을 세웠습니다.

중국 내 경제 상황이 예상만큼 호조를 보이지 않을 경우, 제주도가 기대하는 만큼의 경제 효과를 얻을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출처:게티이미지뱅크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주도는 지금 이 시점에서 적극적인 마케팅과 프로모션을 통해 중국 관광객을 유치하고자 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런 노력이 결국은 제주도의 관광업 뿐만 아니라 한국 경제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며, 더욱 세밀한 전략과 준비로 이를 지속 가능하게 만드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

“아무리 손님이라도 중국인은 쫌…”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중국인 단체 여행이 재개되면서 한편으로는 지역 관광의 활성화에 큰 기대감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한편, 인근 상인들은 중국인 관광객의 증가와 관련된 쓰레기 문제, 불편한 생활 습관 등을 거론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을 고려하여, 제주자치경찰단은 중국인 관광객의 철저한 관리와 단속을 약속하고 있고, 상인과의 갈등 해소를 위한 복합적인 접근 방안이 고려하고 있습니다.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이에 따라 관광 업계와 지역 주민, 상인들의 이해관계를 조화롭게 만들 수 있는 다양한 대책과 전략이 요구됩니다.

중국인 단체 여행이 지역 경제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와 함께, 이로 인한 부작용도 철저히 관리해야 할 필요가 있음이 분명합니다.

“옛날 제주도가 아니야..가기 싫다” 한국인은 외면

2022년에 제주도의 내국인 관광객 수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앞으로는 이보다 더 많은 관광객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 주를 이룹니다.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음식과 서비스의 높은 요금이 지적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여행객들의 불만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출처:여행커뮤니티
출처:여행커뮤니티

관광업계에서는 일본 여행과 제주도 여행의 가격 차이가 크지 않다는 점을 들어 “이 가격으로 차라리 일본을 간다”는 의견이 늘고 있다고 지적합니다.

제주 여행업 관계자들은 내국인 수요가 줄면, 이는 단순히 관광산업뿐만 아니라 제주 지역경제 전반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사업 규모를 축소한다면, 그 파급효과가 더욱 심각해질 가능성이 있음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가격 경쟁력을 높이고,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내국인 관광객을 유치하는 전략도 필요하겠지만, 동시에 외국인 관광객, 특히 중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마케팅 전략도 병행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를 통해 지역경제와 관광산업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모델을 만드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

Copyright ⓒ 발품뉴스.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관심 집중 콘텐츠

“진작 알았어야 했는데”… 국가유산 코스, 이제부터 무료·할인으로 즐긴다

더보기

“인구의 400배 관광 꿈꾼다”… 작년 888만명 방문한 소도시

더보기

“부처의 머리를 닮았다고요?”… 꽃 전문가가 소개하는 이색꽃 명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