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에겐 없었던 질병
20년 사이 7배 급증 심각
건강 관리는 누구에게나 필수적인 사안이며, 모든 연령대와 성별에 걸쳐 매우 중요하다는 것은 두말할 나위 없다.
그런데 최근 한국인에게 비교적 발병률이 낮았던 질병이 예상치 못한 증가율을 보이고 있어 전문가들이 주의를 당부하고 있다.
문제가 되고 있는 질병은 바로 ‘피부암’이다. 국내에서 피부암 발병률이 지난 20년간 7배나 급증했다는 소식이 전해져 화제다.
뉴스1 보도에 따르면 강동경희대병원 피부과 권순효 교수 연구팀이 1999년부터 2019년까지 중앙암등록본부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국내 피부암 환자 수가 1999년 1,255명에서 2019년 8,778명으로 20년 동안 약 7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진행된 피부암의 발생률과 생존율에 대한 연구로, 이전까지는 단지 증가하고 있다고만 여겨졌던 피부암 환자 수를 객관적인 통계로 확인함으로써 큰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피부암은 서양인에게 더 흔하게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서양인보다 동양인의 피부에 멜라닌 색소가 더 많아 자외선으로부터 보다 효과적으로 피부를 보호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 들어 평균 수명의 증가와 야외 활동의 증가로 인한 햇빛 노출 증가가 한국인의 피부암 발병률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특히 70세 이상의 고령층에서 피부암 발병이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암 종류별로는 기저세포암이 가장 큰 증가를 보였는데, 1999년 488명에서 2019년에는 3,908명으로 약 8배 증가하였다.
권순효 교수는 최근의 피부암 발병률 증가에 대해, “피부암 발생이 실제로 증가하는 동시에, 피부암에 대한 인식 증가로 초기 단계에서 진단이 더 많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환자 수가 급증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암종별 생존율에 대한 분석에서는 기저세포암이 특히 주목할 만하다. 이 암종의 5년 상대 생존율은 20년간 100%를 넘어서, 암에 걸린 환자들이 암이 없는 사람들보다 생존 확률이 더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편평세포암의 5년 상대 생존율도 1996년에서 2000년 사이의 77.3%에서 2015년부터 2019년 사이에 89.3%로 상승하였다, 이는 치료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질병의 조기 진단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잘 보여준다.
피부암 중 악성흑색종의 5년 상대 생존율은 47.8%에서 63.9%로 눈에 띄게 증가하였다. 반면, 혈관육종의 생존율은 여전히 24.7%로 낮게 유지되고 있다.
권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앞으로 국내에서 피부암의 치료와 예방을 위한 진료 지침을 마련하는 데 있어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라며 기대감을 표현했다.
또한 권 교수는 특히 고령자의 얼굴에서 주로 발생하는 피부암에 대해 “부모님이 얼굴에 이상한 점이나 낫지 않는 상처가 있다면 즉시 피부과를 방문할 것”을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피부과 분야의 국제학술지인 ‘Japanese Dermatological Association: Journal of Dermatology’에도 게재되어, 그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한편, 피부암 예방을 위해서는 자외선 차단제, 모자, 선글라스 등을 통해 피부를 보호하고, 햇빛이 강한 낮 시간대의 야외 활동을 제한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피부암 경우, 큰 수술을 필요로 하지 않고도 다양한 방법으로 치료할 수도 있다. 이러한 치료법들은 조기에 질병을 발견할 때 효과적이므로, 평소 피부 건강에 주의를 기울이고 정기적으로 검사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