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츠 S클래스 판매 반토막 영향
영업이익은 여전히 벤츠가 우위

수입차 시장에서 10년 넘게 벤츠가 지켜온 ‘매출 1위’ 자리를 BMW가 마침내 빼앗았다.
BMW코리아가 지난 2023년 판매량 1위 탈환에 이어, 2024년에는 매출에서도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를 제치며 국내 수입차 시장 판도에 균열을 일으켰다.
뉴스1 보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이 4월 10일 공개한 전자공시 자료에서 BMW코리아의 지난해 매출은 5조 9918억 원으로, 벤츠코리아(5조 6882억 원)보다 3036억 원 많았다. 이는 2014년 이후 처음으로 매출에서 BMW가 벤츠를 앞선 기록이다.
이번 매출 역전의 결정적 변수는 고급 플래그십 세단의 실적 차이다. BMW는 7시리즈 판매가 꾸준히 늘어난 반면, 벤츠는 S클래스 판매가 반토막 나며 격차가 벌어졌다.

시장조사기관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2023년 한 해 동안 벤츠 S클래스는 전년도(9414대) 대비 절반 수준인 4678대만 판매됐다. 반면 같은 기간 BMW 7시리즈는 3487대에서 4259대로 약 22% 증가했다.
두 모델 모두 가격이 대당 2억 원 안팎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S클래스 판매 감소로 벤츠는 약 9000억 원의 매출을 잃은 반면, BMW는 7시리즈의 판매 증가로 약 1500억 원을 추가로 벌어들인 셈이다.
전체 판매량 감소세에도 불구하고, 고급차의 판매 비중이 전체 실적을 가른 것이다.
그렇다고 BMW가 모든 지표에서 벤츠를 앞선 것은 아니다. 영업이익에서는 벤츠가 여전히 BMW를 웃돌았다.

2023년 벤츠의 영업이익은 1575억 원으로 BMW의 1362억 원보다 213억 원 높았다. 수익성 측면에서는 여전히 벤츠가 우위를 점하고 있는 셈이다.
또한 전체 판매량도 두 브랜드 모두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BMW는 7만 3754대로 전년 대비 4.7% 감소했고, 벤츠는 6만 6400대로 13.4%나 줄었다.
판매량이 줄었음에도 BMW가 매출에서 벤츠를 넘은 데에는 7시리즈와 같은 고가 차량의 성장과 S클래스의 부진이 맞물린 결과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자동차 업계는 BMW와 벤츠의 경쟁 구도가 올해도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올해 1~2월엔 BMW가 두 달 연속 수입차 판매 1위를 차지했지만, 3월엔 벤츠가 다시 1위로 복귀하면서 양사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변수가 있다면 벤츠의 신형 S클래스 출시 시점이다.
현재 판매 중인 10세대 S클래스는 2020년 글로벌 출시 후, 2021년 2월 한국 시장에 들어온 모델로, 출시 4년 차에 접어든 만큼 부분변경 모델이 절실한 상황이다.
업계에 따르면, 벤츠는 이르면 올해 하반기 혹은 내년 상반기 중 S클래스의 부분변경 모델을 한국에 선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통해 매출 1위 탈환을 노릴 가능성이 높다.

한편 BMW 역시 당분간 신차 출시는 많지 않은 상황이라, 양사 모두 볼륨 신차 없이 ‘플래그십 전략’과 브랜드 파워를 통한 맞대결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국내 수입차 시장은 지금, 단순한 판매 숫자 이상의 ‘브랜드 경쟁력’을 시험하는 무대가 되고 있다. 그 무게 중심이 앞으로 어디로 향할지, 자동차 시장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에르메스가 구찌 판매량 신경을 쓰려나?
짱츠 타나보네 ㅋㅋ 비엠 타는 사람들도 벤츠 따위는 신경 안써요. 성능이 다른데
벤츠랑 비엠이 에르메스 구찌 차이였어?ㅋㅋㅋ 어디서 에르메스 근처도 못가본 인간이 줏어듣고 씨부리는 거 고소 ㅋㅋㅋ 에르메스급이면 벤츠가 아니라 롤스나 페라리 급이어야지 ㅋㅋㅋㅋㅋ
벤츠가 에르메스냐 ㅋㅋ 수준하고는..
어디 짱쯔가지고 기술력 가진 BMW에 비빌까?
요즘 벤츠 오너들 제품 완성도 엉망이어서 스트레스 엄청 받는거 아시나요?
벤츠도 중국 자본 들어간 이상 예전의 제왕을 누리던 벤츠가 아닙니다.
타보시면 압니다.
짱츠랑
롤스로이스 7시리즈랑 비교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