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TB 기술’로 안전성 대폭 향상
스포티한 성능
편의사양 기본 탑재

3일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서울모빌리티쇼’ 미디어데이 현장에서 BYD코리아가 두 번째 전기차 모델 ‘BYD 씰(SEAL)’을 공개하며 사전예약에 돌입했다.
출범 3개월 만에 두 번째 모델을 선보인 BYD는, 이번 ‘씰’을 통해 단순한 대중형 전기차를 넘어 퍼포먼스 세단 영역까지 본격적으로 공략하겠다는 전략이다.
‘씰’은 BYD 전기차 라인업 최초로 ‘셀투바디(CTB)’ 기술이 적용된 모델이다. 이 기술은 배터리를 단순한 에너지원이 아닌 차량 구조의 일부로 통합하는 방식이다.
배터리팩의 상단 커버를 차체 바닥과 완전히 일체화함으로써, 충격을 차량 전체로 고르게 분산시키는 구조적 강점을 갖는다. 이로 인해 충돌 시 탑승객 안전성이 한층 강화됐고, 주행 안정성도 개선됐다.

BYD의 자체 기술인 ‘블레이드 배터리(LFP)’가 적용돼, 82.56kWh 용량 기준으로 최대 520km(WLTP 기준)의 주행거리를 확보했다. 150kW급 DC 급속 충전도 지원돼, 20~80%까지 약 30분 만에 충전 가능하다.
씰의 파워트레인은 후륜(RWD)과 사륜(AWD) 2가지 트림으로 구성된다.
AWD 기준 전면 160kW, 후면 230kW 두 개의 모터가 합쳐져 총 390kW(약 530마력)의 출력을 내며,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단 3.8초면 도달할 수 있다.
공기저항계수는 0.219로, 전기차 특유의 유선형 스타일을 바탕으로 한 뛰어난 공기역학 설계를 자랑한다.

패스트백 형태의 낮은 루프라인과 탄탄한 차체 비율은 전형적인 쿠페 디자인을 연상케 하며, 실제로 바다에서 영감을 받은 유려한 외관이 눈길을 끈다.
BYD는 이번 ‘씰’에 레이더와 전방뷰 카메라 기반의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을 기본 탑재했다. 전·후방 교차 충돌 경고, 하차 주의 경고 등 실생활에서 유용한 기능이 중심이다.
내비게이션은 티맵을 기반으로 하고, OTA(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음성 인식 시스템, 헤드업디스플레이(HUD) 등 최신 편의기능이 두루 포함됐다. 12.8인치 회전형 디스플레이, 덴마크 다인오디오의 12개 프리미엄 스피커 역시 인상적이다.
RWD와 AWD 모델 모두 전자식 차일드락, 파노라마 선루프, 차량 외부 전력공급 기능(V2L)까지 갖췄다.

씰의 예상 가격은 친환경차 세제 혜택 적용 기준으로 4750만 원에서 5250만 원 사이이며, 보조금은 별도다. 정확한 인도 시점과 확정가는 향후 인증 및 고시 등록 완료 후 공지될 예정이다.
BYD가 국내 시장에서 두 번째로 꺼낸 ‘씰’은, 단순히 한 대의 차를 넘어서 브랜드의 의지를 보여주는 선언이자 도전이다. 그리고 그 출발선은, 이미 서울모빌리티쇼 위에서 강렬하게 그려졌다.
중국차지?
가격 만 처 올리더니 현대기아 이제 큰일이다 이렇게 싸고 좋은 자동차 가 나왔으니
귀족노조가 만든 현기차 보다 좋네…아토산다.
국산차 귀족노조 민노총 먹여살리느라 올린건데 불만잇냐
민노총이 한국 제1등 권력이지 줄평많네 그럼 외제차 사던가 수리비 2배 ㅋㅋㅋ
폰도 자동차도 한국은 삼성.현기차.거의 독과점 형태다…수입차가 많아질수록 소비자의 선폭이 넓어져 결국은 국내차량가 인하로 경쟁되니 소비자에겐 아주 좋다.상품은 가성비로 경쟁해야지 국가.민족.이념의
폰도 자동차도 한국은 삼성.현기차.거의 독과점 형태다…수입차가 많아질수록 소비자의 선폭이 넓어져 결국은 국내차량가 인하로 경쟁되니 소비자에겐 아주 좋다.상품은 가성비로 경쟁해야지 국